정의 및 관리 목적
- 정보 요구 사항을 비롯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전반에 걸친 사용자의 요구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반영하는 작업 절차를 말한다. 정보 요구 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 확인함으로써 요건에 맞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임
- 정보 요구 사항 관리는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등의 요구 사항을 전부 포함하는 통합 관리 프로세스를 정립해야 함
정보 요구 사항 관리 프로세스
업무 흐름 프로세스
- 사용자로부터 정보 요구 사항을 접수하고, 반영 여부를 결정하여 통보하고, 최종적으로 시스템 개발로 완료됨
- 요구 사항 발송
- 사용자가 정보시스템을 활용하면서 발생하는 불편 사항이나 신규 개발 사항 등의 요건을 정보 요구 사항 정의서 양식에 기록하여 정보시스템 담당자에게 발송한다.
- 요구 사항 수렴
-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정보 요구 사항 정의서를 수집하여 규칙에 맞게 정확하게 정의했는지 확인하고, 해당 요건을 검토할 처리 담당자를 지정하여 이송한다.
- 요구 사항 검토
- 요청된 정보 요구 사항과 관련된 자료 및 작성 기준, 구성 요소, 원칙 등을 확인해서 반영 여부를 판단한다. 반영이 가능한 경우는 개발 물량, 협조 담당자, 관련자 등의 영향도 분석을 한다. 반영이 불가능한 경우는 미반영 사유와 함께 요건을 발송한 담당자에게 재전달하여 결과를 알 수 있게 한다.
- 영향도 분석
- 요청된 내역을 토대로 신규 개발 및 변경에 따른 영향이 얼마나 되며, 이로 인해 영향을 받는 설계서, 기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등을 파악해 영향도 분석을 마무리한다.
- 공식화
- 영향도 분석 후 관련되는 담당자를 소집하여 의견을 공유하고, 담당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반영 유형을 결정한다. 반영 유형은 규모 및 기간, 시급성에 따라 결정되며, 처리 방법은 신규 시스템 개발 또는 기존 시스템 변경이 발생한다.
- 반영 작업 계획 수립
- 영향 분석 결과를 근거로 업무 영역 및 관련 담당자들과의 미팅 후 반영 계획을 수립한다. 작업 일정 계획에는 표준과 설계서 변경, 데이터베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수정, 테스트, 이관 등의 작업이 명시되어야 한다.
수행 조직 및 수행 업무
<역할별 담당 업무>
역할 | 담당업무 |
사용자 | - 정보 요구 사항 정의 및 상세화 - 정보 요구 사항 변경 요청 - 정보 요구 사항 반영을 위한 미팅 - 정보 요구 사항 변영 여부 확인 - 미결 사항에 대한 의사결정 실시 |
담당자 | - 사용자 정보 요구 사항 접수 - 사용자 정보 요구사항에 대한 기본적인 검토 - 반영 여부 결정을 위한 사용자와 1차 미팅 - 접수 요건에 대한 처리 방식 및 처리 기한 결정 |
담당자 | - 관련 부서별 담당자 수집 및 요건 협의 주도 - 사용자 정보 요구 사항 반영 - 테스트 및 검증 - 사용자 반영 결과 통보 |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 | - 사용자 정보 요구 사항에 대한 표준/데이터베이스/애플리케이션 차원에 대한 영향도 분석 및 보고 - 접수된 요구 사항에 대한 표준 준수 여부 체크 - 영향도 분석을 통한 수정 및 변경 계획 수립 - 표준 제시 및 준수 여부 검토 |
'D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P 전문가 가이드] 2.2.2 정보 요구 사항 정리 (0) | 2025.04.24 |
---|---|
[DAP 전문가 가이드] 2.2.1 정보 요구 사항 수집 (0) | 2025.04.24 |
[DAP 전문가 가이드] 2.1.1 정보 요구 사항 (0) | 2025.04.24 |
[DAP 전문가 가이드] 1.3.3 전사아키텍처 활용 (0) | 2025.04.24 |
[DAP 전문가 가이드] 1.3.2 전사아키텍처 관리 시스템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