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P
[DAP 전문가 가이드] 4.3.3 엔티티 상세화(1)
2025.04.29
식별자(UID, Unique Identifier) 확정- 엔티티 내의 모든 인스턴스는 유일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식별자이다.- 식별자에는 크게 본질 식별자, 실질 식별자, 대체 식별자로 구분할 수 있다. 본질 식별자- 엔티티에는 인조 식별자가 있고, 진주어에 해당하는 관계나 속성이 어딘가에 있다.- 행위 엔티티를 정의하는 방법에는 상황에 따라 하향식과 상향식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키 엔티티는 부모가 없이 창조된 집합이므로 식별자 또한 창조시켜 주어야 한다.- 행위 엔티티는 항상 부모가 누구인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키 엔티티의 본질 식별자키 엔티티는 사원, 고객, 상품과 같이 부모 엔티티 없이도 혼자서 정의될 수 있는 엔티티이다.절대..
DAP
[DAP 전문가 가이드] 4.3.2 속성 정의
2025.04.29
속성 개념속성 정의- 속성은 엔티티에서 관리되는 구체적인 정보 항목으로 더 이상 분리될 수 없는 최소의 데이터 보관 단위이다.- 각 엔티티들은 일련의 속성에 의해 상세화될 수 있다. 속성 특징속성도 일종의 집합이다.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엔티티는 테이블이 되고, 속성은 컬럼이 된다. 결국 속성에는 데이터 값이 들어가게 되며, 그 값들은 여러 종류를 가지게 된다.릴레이션십도 속성이다.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 가서 보면 릴레이션십 또한 결국은 일종의 속성이 될 수밖에 없다.속성들 간은 서로 독립적이다.속성들은 반드시 식별자에 직접 종속되어야 한다.정규화의 제2정규형에 해당한다.속성들 간에 종속성이 존재한다면 이들은 별도의 엔티티로 분리되어야 한다. 속성 후보 도출- 후보 도출 작업은 기존의 현장조사에..
DAP
[DAP 전문가 가이드] 4.3.1 논리 데이터 모델링 이해
2025.04.29
논리 데이터 모델링 정의-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이란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세스의 입력으로써 비즈니스 정보의 구조와 규칙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기법이다.- 논리적 모델은 데이터 모델링이 최종적으로 완료된 상태를 말한다. 즉, 물리적인 스키마 설계를 하기 전 단계의 데이터 모델 상태를 일컫는다.- 핵심은 어떻게 데이터에 액세스하며, 누가 데이터에 액세스하며, 그러한 액세스의 전산화와는 독립적으로 비즈니스 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실을 인식, 기록하는 기법일 뿐만 아니라 철학이다.- 데이터 모델링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 논리 데이터 모델링이다. 논리 데이터 모델링 목적 및 효과해당 비즈니스에 대한 데이터 관점에서의 명확한 이해전사적인 통합 데이터 체계 확립데이터의 일관성 및 정확성 유지를 위한 규칙 도출안..
DAP
[DAP 전문가 가이드] 4.2.6 개념 데이터 모델 작성
2025.04.29
개념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개념 데이터 모델은 핵심 엔티티(키 엔티티, 메인 엔티티)와 핵심 엔티티 사이의 관계 도출을 통해 핵심 구조라 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의 골격을 정의한 것이다.- 업무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데이터 주제영역별로 상세화하여 핵심 엔티티들을 도출하고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생성되기도 하고, 수집된 엔티티 후보들을 검토하고 분류하여 핵심 엔티티들을 도출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생성되기도 한다.- 주제영역별로 작성된 개념 데이터 모델을 전사 영역으로 확장하여 하나의 개념 데이터 모델로 작성한 것을 전사 개념 데이터 모델 또는 확장 개념 데이터 모델로 부르기도 한다.- 개념 데이터 모델은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형화된 모델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DAP
[DAP 전문가 가이드] 4.2.5 관계 정의
2025.04.29
관계란?- 관계(Relationship)란 엔티티와 엔티티 사이의 관계를 말한다.- 즉, 관리하고자 하는 업무 영역 내의 특정한 두 개의 엔티티 사이에 존재하는 많은 관계 중 특별히 관리하고자 하는 직접적인 관계를 의미한다. 관계 이해관계도 집합이다- 관계는 두 엔티티 사이에 그 목적과 내용이 다른 여러 개의 관계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직접 관계를 관계라고 한다- 많은 관계 중에서 직접 종속인 것만을 관계로 보고 모델링하는 것이다.두 엔티티 간에는 하나 이상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두 개의 엔티티 사이에는 서로 다른 업무 규칙을 가진 별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외래키로 정의- 관계는 외래키(FK)로 구현되어 참조 무결성으로 데이터 정합성 유지의 역할을 하게 된다.관계의 관점항상 두 엔티티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