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요구/애플리케이션 상관분석
애플리케이션 충족도 분석 매트릭스
- 애플리케이션 충족도 분석 매트릭스는 다음 기준에 따라 점검하며, 추가되거나 삭제되어야 할 정보 요구 사항을 도출한다.
- 정보 요구 사항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 항목을 생성하는 기본 프로세스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 정보 항목의 상태를 종료시키는 기본 프로세스가 존재해야 한다.
- 생성된 정보 항목은 조회, 수정, 삭제 액션 중 하나가 발생해야 한다.
- 하나의 정보 항목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프로세스의 합은 7개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올바르게 정의되었는지를 확인한다.
- 수작업으로 정의하거나 조회 전용으로 특별히 정의된 기본 프로세스를 제외한 나머지의 기본 프로세스는 반드시 생성, 수정, 삭제 액션 중의 하나를 수행해야 한다.
매트릭스 분석
- 매트릭스 분석은 추가 및 삭제되어야 할 정보 요구 사항을 도출한다. 해당 점검 내용의 조치 사항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것일 경우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팀에 전달하고 협의하여 정의된 정보 요구 사항과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스와의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매트릭스 점검 내용>
번호 | 점검 내용 | 분석 결과 | 조치 사항 |
1 | 기본 프로세스가 사용(CRUD)하는 정보 항목이 없음 | 정보 항목의 누락 | 정보 항목 도출 |
기본 프로세스 필요없음 | 기본 프로세스 삭제 | ||
기본 프로세스가 분석 대상 업무 영역에 속하지 않음 | 해당 업무 영역으로 이동 | ||
2 | 정보 항목이 7개 이상의 기본 프로세스에서 사용됨 | 정보 항목이 너무 큼 | 정보 항목의 세분화 필요 |
3 | 정보 항목을 생성하는 기본 프로세스가 없음 | 기본 프로세스의 누락 | 기본 프로세스의 도출 |
정보 항목이 필요없음 | 정보 항목 삭제 | ||
정보 항목이 분석 대상 업무 영역에 속하지 않음 | 해당 업무 영역으로 이동 | ||
4 | 정보 항목을 생성하는 기본 프로세스가 둘 이상 존재 | 기본 프로세스의 중복 | 기본 프로세스의 합성 |
5 | 엔터티를 삭제하는 기본 프로세스가 없음 | 기본 프로세스의 누락 | 기본 프로세스의 도출 |
업무에 삭제가 존재하지 않음 | 전산상의 오류인 경우에 삭제가 필요한지 확인 | ||
기본 프로세스가 분석 대상 업무 영역에 속하지 않음 | 해당 업무 영역으로 이동 | ||
6 | 정보 항목을 삭제하는 기본 프로세스가 둘 이상 존재 | 기본 프로세스의 중복 | 기본 프로세스 합성 |
7 | 정보 항목이 생성만 되고 사용되는 곳이 없음 | 기본 프로세스의 누락 | 기본 프로세스의 도출 |
8 | 기본 프로세스가 정보 항목을 조회만 함 | 기본 프로세스가 아님 | 모듈 검토 |
9 | 기본 프로세스가 여러 액션을 수행함 | 정의된 기본 프로세스가 너무 큼 | 프로세스 추가 분해 |
정보 요구/업무 기능 상관분석
- 매트릭스 분석
- 매트릭스가 완료된 후 다음 질문을 통해 행과 열을 분석한다.
- 모든 업무 기능은 정보 항목과 연관이 있는가?
- 각 정보 항목은 적어도 한 번 이상의 'C'를 갖는가?
- 생성된 정보 항목은 다른 업무 기능에 의해 사용('U') 되는가? 이것은 정말 단순 조회인가?
- 매트릭스가 완료된 후 다음 질문을 통해 행과 열을 분석한다.
- 정보 항목과 연관성이 없는 업무 기능은 관련 팀과의 협의하에 업무 기능 도출의 적절성이나 관련 정보 항목을 다시 파악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매트릭스를 보완한다.
- 정보 항목에 매핑이 없는 업무 기능의 경우 관련 팀과 협의하여 정보 요구 사항 보유 여부를 확인한 후 추가적인 정보 요구 사항이 있을 경우 정보 요구 조사 프로세스에 따라 정보 요구 목록에 신규로 추가한다.
정보 요구/조직 기능 상관분석
- 매트릭스 분석
- 매트릭스가 완료된 후 다음 질문을 통해 행과 열을 분석한다.
- 모든 조직은 정보 항목과 연관이 있는가?
- 각 정보 항목은 적어도 한 번 이상의 'C'를 갖는가?
- 생성된 정보 항목은 다른 조직에 의해 사용('U') 되는가? 이것은 단순 조회인가?
- 매트릭스가 완료된 후 다음 질문을 통해 행과 열을 분석한다.
- 정보 항목의 활용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정보 항목의 수요가 많은 경우에는 해당 정보 항목의 물리 모델링 단계에 성능/활용 측면의 모델링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정보 활용의 효율성을 기한다.
- 정보 항목을 생성하는 조직 단위가 복수로 존재할 경우 데이터 관리의 복잡성으로 인해 향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정보 항목에 대한 데이터 관리 주체의 선정에 주의를 기울인다.
정보 요구 보완
- 애플리케이션 기본 프로세스 대 정보 요구 사항, 업무 기능 대 정보 요구 사항, 조직 대 정보 요구 사항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파악된 추가 및 삭제 정보 요구 사항에 대하여 담당자와 구체적인 미팅을 실시하고, 일정 계획 시 설정된 반영 계획에 따라 정보 요구 목록을 보완한다.
정보 요구 확정
- 보완된 정보 요구 사항에 대하여 재차 사용자 재검토를 실시하며, 추가 반영 사항에 대한 반영 여부 의사결정을 실시한 후 최종 정보 요구 목록에 대한 확정을 실시한다. 정보 요구 목록을 통해 향후 데이터 모델과 관련된 모든 산출물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누락된 항목 없이 정확하게 작성한다.
'D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P 전문가 가이드] 3.1.2 데이터 표준화 개념 (0) | 2025.04.25 |
---|---|
[DAP 전문가 가이드] 3.1.1 데이터 표준화 필요성 (0) | 2025.04.25 |
[DAP 전문가 가이드] 2.4.1 정보 요구 사항 상관분석 기법 (0) | 2025.04.24 |
[DAP 전문가 가이드] 2.3.3 정보 요구 사항 확인 (0) | 2025.04.24 |
[DAP 전문가 가이드] 2.3.2 정보 요구 사항 상세화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