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P
[DAP 전문가 가이드] 1.1.4 전사아키텍처 프로세스
2025.04.23
전사아키텍처 프로세스 개요- 전사아키텍처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체 절차에 관한 것으로, 작업의 단계와 공정, 작업 내용 등을 정의하는 것. 전사아키텍처 프로세스는 일반화되어 있는 방법론이 있지만 전사아키텍처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목적에 맞게 프로세스를 조정할 수 있음 전사아키텍처 프로세스 구성 비전 수립 단계 : 기업의 전사아키텍처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 추구해야 할 전사아키텍처의 방향 수립구축 단계 : 전사아키텍처 정보를 어떻게 구성한 것인가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아키텍처와 목표 아키텍처 구축관리 정의 단계 : 전사아키텍처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한 관리 체계를 정립하고, 관리 시스템 구축활용 정의 단계 : 목표 아키텍처 달성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전..
DAP
[DAP 전문가 가이드] 1.1.3 전사아키텍처 참조 모델
2025.04.23
참조 모델 정의참조 모델 개념- 참조 모델은 아키텍처 구성 요소를 식별하여 표준화한 것으로 기관이나 기업의 전사아키텍처를 수립할 때 참조하는 추상화된 모델. 다양한 관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시스템에 대한 개념적인 모델을 추상화하고, 구성 요소를 재사용 가능한 방식으로 생성하여, 여러 기업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아키텍처별 참조 모델로는 업무 참조 모델(BRM), 데이터 참조 모델(DRM), 서비스 참조 모델(SRM), 기술 참조 모델(TRM), 성과 참조 모델(PRM) 등이 있음 참조 모델 현황 정부는 아래 그림과 같이 전사아키텍처 참조 모델로 5가지 참조 모델 정의를 추진하고 있음 성과 참조 모델 : 정보화 성과의 측정을 위한 항목과 지표 및 방법을 제시업무 참조 모델 : 업무아키텍처의 기준이..
DAP
[DAP 전문가 가이드] 1.1.2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2025.04.23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개념- 전사아키텍처 활동에서 얻어지는 산출물을 분류하고 조직화하고 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전체적인 틀을 정의하는 것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구성 아래 그림에서 보면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는 전사아키텍처 정책, 전사아키텍처 정보, 전사아키텍처 관리 등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전사아키텍처 정책 : 기업이 전사아키텍처 수립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방향을 정의한 것으로, 아키텍처 매트릭스, 전사아키텍처 비전, 전사아키텍처 원칙 등으로 구성됨전사아키텍처 정보 : 기업이 구축하는 전사아키텍처 정보의 구체적인 모습으로, 현행 아키텍처, 목표 아키텍처, 이행 계획으로 구성됨전사아키텍처 관리 : 구축된 전사아키텍처를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정의한 것으로, 전사아키텍처 관리 체계, ..
DAP
[DAP 전문가 가이드] 1.1.1 전사아키텍처 정의
2025.04.23
전사 아키텍처 개념전사아키텍처 도입 배경기업의 복잡한 시스템을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것으로, 복잡한 기업 시스템을 피요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해 도입됨 전사아키텍처 정의복잡한 기업의 모습을 다양한 측면(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기술 등)에서 분석하고 표현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정보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전사아키텍처 도입의 목적은 IT투자 대비 효과를 최대화하고, 기업의 목적을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것 미국 예산관리국(OMB)의 전사아키텍처 정의- "전사아키텍처는 조직 및 업무 활동과 정보기술 간의 관계를 현재 모습과 향후 추구할 모습을 별도로 정의한 청사진" 미국 전자정부법의 전사아키텍처 정의- "전사아키텍처는 조직의 임무가 ..
SQLP
[친절한 SQL 튜닝] 6. DML 튜닝 [1]
2025.02.09
기본 DML 튜닝DML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덱스무결성 제약조건절서브쿼리Redo 로깅Undo 로깅Lock커밋 데이터베이스 Call과 성능Parse Call : SQL 파싱과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Execute Call : SQL을 실행하는 단계Fetch Call : 데이터를 읽어서 사용자에게 결과집합을 전송하는 과정으로 SELECT문에서만 나타난다.User Call : 네트워크를 경유해 DBMS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CallRecursive Call : DBMS 내부에서 발생하는 Call. 사용자 정의 함수/프로시저/트리거에 내장된 SQL을 실행할 때 발생한다. 데이터 Call이 많으면 성능은 느릴 수밖에 없다. 특히,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User Call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