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커 표기법
- Richard Barker에 의해 1986년 처음 개발되었고, 오라클에서 Case Method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엔티티(Entity)
- 엔티티는 기업에서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해야 할 대상이다.
- 하나의 관리 대상이 엔티티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가져야 한다. 속성이 없는 실체는 존재할 수 없다.
- 엔티티란 실제 세상에 있는 객체(Object)이다.
- 엔티티는 네 부분의 모서리가 둥근 형태인 소프트-박스로 표현한다.
-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다.
속성(Attribute)
- 속성은 하나의 엔티티에 종속되는 명사적 단어들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명사적 단어 중에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명사들은 엔티티가 되고 그렇지 못한 명사들은 속성이 된다.
- 속성의 상태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 * (Mandatory) : 해당 속성에 어떤 값을 반드시 저장해야 하는 경우
- o (Optional) : 해당 속성에 어떤 값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
관계(Relationship)
- 두 개의 엔티티 간에 Conditional을 표기한 후 해당 엔티티의 가까운 위치에 관계 명칭을 표기하고 관계(Relationship)는 실세계의 해당 엔티티에서 발생하는 동사적 단어들을 표기한다.
엔티티와 엔티티 간의 관계
- 1:1 관계
- A 엔티티에 존재하는 데이터 1개와 관계되는 B 엔티티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개수도 1개인 엔티티 간의 관계를 1:1 관계라고 한다.
- 1:M 관계
- A 엔티티에 존재하는 데이터 1개와 관계되는 B 엔티티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개수가 여러 개인 엔티티 간의 관계를 1:M의 관계라고 한다.
- M:M 관계
- A 엔티티에 존재하는 데이터 1개와 관계되는 B 엔티티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개수가 여러 개이며, B 엔티티에 존재한 데이터 1개와 관계되는 A 엔티티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개수도 여러 개인 엔티티 간의 관계를 M:M 관계라고 한다.
엔티티와 엔티티 간 상관 관계의 조건
- 필수 조건
- 필수 사항은 실선으로 표시하고 상대 엔티티에 대해 해당 엔티티에 조건을 만족하는 엔티티가 반드시 존재할 경우에 표시한다.
- 선택 조건
- 선택 사항은 점선으로 표시하고 상대 엔티티에 대해 해당 엔티티에 조건을 만족하는 엔티티가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경우 표시한다.
식별자(Unique Identifier)
- 식별자란 하나의 엔티티에 구성되어 있는 여러 개의 속성 중에 엔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을 의미한다.
- 하나의 엔티티는 반드시 하나의 식별자가 존재해야 한다.
식별자의 유형
- 본질 식별자
- 속성 중에서 집합의 본질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의미상의 주어를 본질 식별자라 한다.
- 사원번호, 상품번호처럼 집합을 식별하기 위한 임의의 유일 값을 사용하는 인조 식별자가 있고, 절대적으로 존재했어야만 하는 본질 속성들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을 수 있다.
- 후보 식별자
- 각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조합이며, 후보 식별자로 속성 집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개념적으로 유일해야 한다.
- 대체(보조) 식별자
- 보조 식별자란 원래의 식별자를 대신할 수 있는 또 다른 속성들이나 릴레이션십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사원 엔티티에 공식적으로 부여된 식별자는 사원번호이지만, 주민등록번호 속성이 유일한 값을 가지면서 필수적으로 정의되었다면 공식적인 식별자는 아니지만 식별자로서의 역할을 할 자격은 충분히 갖추고 있다.
- 인조 식별자
- 인조 식별자란 식별자 확정 시 기존의 본질 식별자를 그대로 실질 식별자로 인정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전부 혹은 일부를 임의의 값을 가진 속성들로 대체하여 새롭게 구성한 식별자를 말한다.
- 실질 식별자
- 인스턴스를 식별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부여된 식별자를 말한다. 본질 식별자나 인조 식별자 모두가 실질 식별자가 될 수 있다.
서브타입
- 서브타입은 서브타입의 중복을 허락하지 않는 상호 배타적 관계이다.
'D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P 전문가 가이드] 4.2.1 개념 데이터 모델링 이해 (0) | 2025.04.28 |
---|---|
[DAP 전문가 가이드] 4.1.3 데이터 모델링 표기법 이해(2) (0) | 2025.04.28 |
[DAP 전문가 가이드] 4.1.2 데이터 모델링 기법 이해(2) (1) | 2025.04.28 |
[DAP 전문가 가이드] 4.1.2 데이터 모델링 기법 이해(1) (0) | 2025.04.28 |
[DAP 전문가 가이드] 4.1.1 데이터 모델링 개요(2) (0) | 2025.04.28 |